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조선왕조실록-성종실록의 편찬 경위, 성종실록의 내용 성종실록의 편찬 경위 《성종실록》은 조선 제9대 왕 성종의 재위 기간(1469년 11월 ~ 1494년 12월)의 25년 2개월간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입니다. 정식 이름은 《성종강정대왕실록》이며, 모두 297권 150책으로 활판 인쇄됐습니다. 《성종실록》은 제14권 성종 3년 정월부터 기사의 다소에 상관없이 반드시 1개월을 1권으로 편철하였기 때문에 권수가 많아지게 됐습니다. 조선시대 다른 왕들의 실록과 함께 국보 제151호로 지정됐습니다. 《성종실록》은 성종의 사후 4개월 뒤인 1495년(연산군 1) 4월에 영의정 노사신 등의 건의로 춘추관 안에 실록청을 설치하여 편찬을 시작했습니다. 편찬 도중인 1498년(연산군 4)에 김일손이 실록청에 제출한 사초 가운데 그의 스승 김종직(金宗直)이 쓴 〈조.. 2023. 12. 18.
조선왕조실록-예종실록 편찬 경위, 편수관, 예종실록의 내용 예종실록 편찬 경위 《예종실록》은 조선 제8대 국왕 예종의 재위 기간(1468년 9월 ~ 1469년 11월) 약 1년 3개월간의 역사를 기술한 사서입니다. 정식 이름은 《예종양도대왕실록》이며, 모두 8권 3책으로 간행됐습니다. 조선시대 다른 왕들의 실록과 함께 국보 제151호로 지정됐습니다. 《예종실록》 말미에는 “성화 6년 경인 2월에 명령을 받아 사초를 출고하여 7년 12월에 이르러 《세조실록》의 편찬을 끝내고, 편찬하기 시작하여 8년 임진 5월에 끝마쳤다.”고 기록이 있습니다. 이 기사로 미루어 《예종실록》은 예종이 승하한 다음해인 성화 6년, 즉 성종 원년(1470) 2월에 춘추관에서 편찬하라는 왕명을 받아 성종 2년(1471) 12월 《세조실록》의 편찬을 마친 후에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 3년(.. 2023. 12. 18.
조선왕조실록-세조실록의 편찬 경위와 편수관, 세종실록의 내용 세종실록의 편찬 경위와 편수관 《세조실록》은 조선 제7대 국왕 세조의 재위 기간(1455년 윤6월 ~ 1468년 9월) 14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사서입니다. 정식이름은 《세조혜장대왕실록》이며, 모두 49권 18책으로 간행됐습니다. 끝의 2권은 세조 대에 제작한 악보를 수록한 것으로, 《세종실록》의 악보와 함께 아악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됩니다. 조선시대 다른 왕들의 실록과 함께 국보 제151호로 지정됐습니다. 《세조실록》은 세조가 승하한 다음해, 즉 예종 원년(1469) 4월 1일(갑인)에 춘추관에 실록청을 설치하고, 신숙주·한명회를 영춘추관사, 최항을 감춘추관사, 강희맹·양성지를 지춘추관사, 이승소·김수령·정난종·이영은·이극돈·예승석을 동지춘추관사에 임명하여 편찬하기 시작했습니다. 《세조실록》은 처음에.. 2023. 12. 18.
조선왕조실록 - 단종실록의 편찬 경위 및 체제, 단종실록의 내용 단종실록의 편찬 경위 및 체제 《단종실록》은 조선 제6대 국왕 단종의 재위 기간(1452년 5월 ~ 1455 윤6월) 3년 2개월간의 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입니다. 원래 이름은 《노산군일기》이었으나, 숙종 때 그를 단종으로 추존한 후에는 《단종대왕실록》이라고 했습니다. 세조 때에 편찬된 원편 《노산군일기》 14권과 숙종 때에 편찬된 《단종대왕실록》 부록 1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노산군일기》는 문종이 승하한 1452년 5월 14일부터 단종이 양위하기 전날인 1455년 윤6월 10일까지를 수록해습니다. 현존하는 《단종실록》의 표제에는 ‘단종대왕실록’이라고 표기되어 있고 부록의 각 내면 권차와 판심에도 ‘단종대왕실록 부록’이라 표기되어 있으나, 원편 14권의 각 내면 권차와 판심에는 ‘노산군일기.. 2023. 12. 18.